목차
기각과 각하의 뜻과 차이점
안녕하세요. 오늘은 법률 용어나 행정 처리 과정에서 자주 등장하는 ‘기각’과 ‘각하’의 뜻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사람들에게는 생소한 용어이기 때문에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도 기각과 각하는 큰 차이가 있는데요. 기각과 각하는 주로 소송 과정이나 법정에서 등장하는 결정으로 해당 사건이 어떻게 처리되는가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집니다. 자 지금부터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각의 뜻
기각의 정의
기각은 법원에서 소송이나 청구를 심리한 후 그 청구가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해 거절하는 것을 뜻합니다. 법원이 사건의 본안을 심리하고 이를 근거로 판결을 내린 다음 청구를 인정하지 않는 결정인데요. 즉 기각은 사건 자체에 대한 심리와 평가가 이루어진 후 나온 결과는 점이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 예시: 어떤 사람이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을 때, 법원은 해당 손해가 증명되지 않았거나,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단을 내리면 해당 소송을 '기각'하게 됩니다.
기각의 절차적 의미
기각은 법원이 해당 사건을 충분히 심리한 후에 내리는 결정이므로 기각 결정이 내려진 이후에는 같은 사유로 다시 소송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이는 기각이 본안의 판단이 이루어진 결정이라는 점에서 각하와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기각의 반대말
기각의 반대말은 ‘인용’입니다. 인용은 법원이 원고의 청구를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법원이 사건을 심리한 후 원고의 주장이 타당하다고 판단하면 인용 결정을 내립니다. 즉, 소송에서 승소한 경우를 말합니다.
- 인용의 예시: 재산 분할 청구에서 원고가 제시한 자료가 타당하고 법적 근거가 충분할 때, 법원은 해당 청구를 '인용'하여 원고의 요구를 인정하게 됩니다.
각하의 뜻
각하의 정의
각하는 법원이 사건의 본안을 심리하지 않고 절차상의 문제로 인해 해당 사건을 종료시키는 결정을 말합니다. 즉 사건의 내용 자체가 법정에서 다뤄지지 않으며 소송의 형식적 요건이나 절차적 문제가 있을때 이루어 지게 됩니다.
- 예시: 원고가 소송을 제기했을 때, 소송 기한이 지났거나, 소송을 제기할 법적 요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법원은 '각하' 결정을 내립니다.
각하의 절차적 의미
각하는 사건의 본안이 아닌 절차상의 문제로 심리가 이루어지지 않은것이기 때문에 해당 사건은 법적으로 종결된게 아닙니다. 원고는 절차적 문제를 해결하고 다시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기각과 각하의 차이점: 본안 심리 여부
기각과 각하는 둘다 소송이나 청구가 거절되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결정 과정과 이유에있어서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기각은 소송의 본안이 법정에서 심리가 완료된 후에 내려지는 결정입니다. 법원에서는 해당 사건을 충분히 검토한 후, 청구가 이유 없다고 판단 되면 기각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따라서 기각은 사건의 내용 자체는 법적 인정을 받지 못했다는 의미 입니다. 따라서 기각은 재소송이 불가합니다.
각하는 사건의 본안에 대해 판단이 이루어 지지 않고 절차상의 문제로 인해 사건이 심리되지 않고 종료되는 경우이기 때문에 본안에 대한 심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절차를 보안하여 재소송이 가능합니다.
각하는 사건의 본안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절차상의 문제로 인해 사건이 심리되지 않고 종료되는 경우입니다. 절차적 요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사건이 각하될 수 있으며, 본안에 대한 심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절차를 보완해 재소송이 가능합니다.
기각과 각하의 실제 사례
기각 사례
- 손해배상 청구 기각: A씨가 B씨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했으나, 법원은 A씨가 주장하는 손해가 증명되지 않았다고 판단해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이 경우, A씨는 동일한 사유로 다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각하 사례
- 소송 제기 요건 미충족으로 각하: C씨가 D씨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이 소송 제기 서류의 일부가 누락된 것을 확인하고 해당 소송을 절차상의 문제로 각하했습니다. C씨는 서류를 보완한 후 다시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결론
기각과 각하는 법적 결정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각각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것이 중요합니다. 소송 과정에서 이러한 용어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법적 절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됩니다.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이나 옷에 묻은 순간접착제 제거 방법 (2) | 2024.10.07 |
---|---|
피해자, 피의자, 참고인의 뜻과 차이점과 역할 (0) | 2024.09.30 |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가입부터 혜택까지 (4) | 2024.09.25 |
새치 나는 이유 5가지와 새치 예방법 (1) | 2024.09.25 |
주휴수당이란? 정확한 계산 방법과 지급 조건 (2) | 2024.09.24 |